본문 바로가기
JOB

취준일지(공채일정 정리표) 무료 공유 (ft. 취업일정 정리)

by 마포구 S대리 2020. 8. 30.
반응형

공채시즌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면 정말 바쁘게 일정이 돌아간다.

하루에도 수많은 기업 공고들이 올라오고, 시작한지 얼마 안된 것 같은데 벌써 서류 마감 기한이 임박한다.

그렇기에, 여러 기업 공고들을 한 곳에 요약하고 전형이 진행될 때마다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개인적으로 70곳이 넘는 많은 기업에 지원했기에 특히나 일정을 한 파일에 모아 정리해야만 했다.

오늘은 내가 취업을 준비하며 활용했던 이 엑셀파일을 공유하려고 한다.

 

아래는 내가 실제로 활용했던 이 취준일지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녹색은 전형 합격, 빨간색은 전형 불합격이다. 

2019 하반기 나의 취업준비일지

이렇게 한 개의 파일에 모든 공채일정을 정리해 두면 빠지는 회사 없이 지원할 수 있어 좋고, 

전형이 진행되면서 어느 기업이 남아있고, 어느 기업 일정이 끝났는지 한눈에 볼 수 있어 유용하다.

 

첨부파일은 아래 첨부파일에서 바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다운로드 받았으면, 이 파일을 열고, 아래 더 자세한 설명을 참고하기 바란다.

취준일지 양식.xlsx
0.02MB

 

그럼 첨부파일 양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아래는 첨부파일에 있는 취준일지 양식.xlsx이다. 

취준일지 양식

'취준일지 양식' 분류

 

기업명: 자신이 지원하는 회사의 이름을 기재

모회사: 자신이 지원하는 회사의 모회사 이름을 기입 예) 삼성DSD-삼성 / LG디스플레이-LG 등

직무: 자신이 지원하는 직무를 작성 예) B2B영업, 소비자마케팅, 브랜드마케팅 등 

포괄직무: 위 직무에서 자신이 지원한 직무를 포괄하는 직무를 기재 예) 마케팅, 영업, 인사, 재무 등

기업분류: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으로 나누어 기업을 분류. 추후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서류제출기한: 서류제출기한을 yyyy-mm-dd 양식으로 적는다. 

D-DAY: 서류제출기한을 기재했다면, 서류 제출기한이 언제인지 계산해준다.(수식적용)

서류발표: 서류발표일자가 나와있다면 적어둔다.

필기/인적성: 필기 인적성 일자가 나와있다면 적어둔다. 인적성 날짜가 겹칠때 선택을 도와준다.

1차 면접: 1차 면접 일자를 기재

2차 면접: 2차 면접 일자를 기재

최종발표: 최종발표일 기재

입사: 입사일은 언제인지 기재

진행중: 전형이 진행중인지, 끝났는지 기재

비고: 면접/인적성 등 각 과정에서 어떤 질문이 나왔는지 적어두면 추후 전형에 유리하다.

 

 

간단한 취준일지 활용 방법

 

취준일지의 활용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우선 취업사이트에서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을 선정한다.

나는 주로 일자별로 잘 분류된 자소설닷컴 에서 이를 수행했다.

 

취업정보사이트를 추천받고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취준생을 위한 취업정보사이트 BEST 4 추천! (작년 취업자의 꿀팁!)↓)

https://extraordinaryemployee.tistory.com/5?category=890062

 

이후 기업명부터 시작해서 위 분류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기입한다.

특히 서류제출기한을 잘 적어두도록 한다. (그래야 원하는 기업에 빠뜨리지 않고 지원할 수 있다)

 

서류를 제출했다면 그 칸을 녹색으로 바꾼다.(아래 사진 참조)

서류 제출을 완료했으면 구분하기 쉽게 녹색으로 변경한다.

이후 전형에서 합격했다면 그 칸을 녹색으로 바꾼다. 전형을 합격할 때 마다 이를 수행한다.

해당 전형에서 합격한 경우- 녹색

해당 전형에서 탈락을 한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해당 전형에서 탈락한 경우- 빨간색

 

이렇게 전형이 진행 될 때마다 하나씩 정리해 나가면 기한이 얼마 남았는지, 발표일은 언제인지 한번에 알 수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효율적인 취준일지를 작성하고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

이러한 취준일지는 내가 만든 양식이기에 조금 엉성한 부분이 많이 있다.

이 양식이 복잡하게 느껴진다면 뺄 부분은 빼고 추가할 부분은 추가하여 더 좋은 양식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것도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