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CS

공급의 법칙과 공급의 변화요인

by 마포구 S대리 2020. 10. 9.
반응형

경제학에서 수요와 공급의 개념은 중요하다.

수요는 각각의 가격수준에서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얼마나 구입하려고 하는가를 나타내었다면,

공급은 각각의 가격수준에서 생산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얼마나 공급(제공)하려는가를 나타낸다.

 

공급과 공급량이란?

다음은 공급과 공급량의 정의이다:

 

공급이란?

 

"일정 기간동안 (모든 가격에서) 생산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려는 의사"

 

공급량이란?

"일정한 가격에서 생산자가 공급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수량"

 

공급의 법칙이란?

 

공급과 공급량에 대해 알았으면 공급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수요의 법칙은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때)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은 증가하는 법칙이었다. (가격 수요 / 가격 수요↑)

 

공급의 법칙은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때)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가격 공급 / 가격 공급)

그래프 상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위 그래프와 같이 가격이 50일 때, 공급량이 5이고, 가격이 100일때 공급량이 10이 되어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공급과 공급량의 변화를 보는 것도 수요와 수요량의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과 같다.

즉 가격을 변수로 할때의 공급량의 변화와, 가격 이외의 변수를 고려할 때의 공급의 변화를 살펴보게 된다.

공급량과 공급의 변화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공급량의 변화:

가격의 변화로 공급량이 변화하는 것을 공급량의 변화라고 한다.

공급량의 변화는 공급곡선 상의 한 점에서 점으로 이동한다.

 

공급의 변화:

가격 이외의 변수가 변화했을 때 일어나는 변화. 공급곡선 자체가 이동한다.

공급이 증가하면 공급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공급이 감소하면 공급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가격 이외의 변수: 생산요소의 가격 변화, 조세부담, 정부보조금 등

 

쉽게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를 이해하려면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된다.

공급량의 변화는 가격이 변했을 때, 공급곡선 '위에서' 이동하고,

공급의 변화는 가격 이외의 변수가 변했을 때 공급곡선 '자체'가 움직인다. 

 

 

공급의 변화요인

위에서 공급의 변화는 '가격 이외의 변수가 변했을 때'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가격 이외의 변수에는 무엇이 있을까?

 

1. 생산요소의 가격변화

생산요소란 제품 혹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원유가격, 임금, 이자, 임대료 등)를 의미한다. 이런 생산요소의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공급이 감소한다.

 

2. 조세와 정부보조금의 변화

조세부담이 커지면 공급에 부담이 되어 공급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 정부보조금이 지급되면 생산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공급이 증가한다.

 

3. 관련재 가격의 변화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 생산의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 가운데 하나의 재화가격이 상승(하락)하면 다른 재화의 공급량이 감소(증가)하게 된다. (ex. 닭과 오리)

보완관계에 있는 두 재화: 생산의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 가운데 하나의 재화가격이 상승(하락)하면 다른 재화의 공급량이 증가(감소)하게 된다. (ex. 닭과 계란)

 

4. 생산자 수의 변화

공급자의 수가 늘어나면 공급은 증가하고, 생산자의 수가 감소하면 공급도 감소한다.

 

5. 기술 수준의 변화

생산기술이 발달하면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공급이 증가한다.

 

 

 

정리하자면,

-. 공급량이 (가격 요인으로) 증가/감소하면 공급곡선상에서 움직이고,

-. 공급이 (가격 외 요인으로) 증가/감소하면 공급곡선 자체가 움직인다. 

-. 공급이 증가하면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공급이 감소하면 공급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 공급의 변화요인에는: 생산요소의 가격 / 조세와 정부보조금 / 관련재의 가격 / 생산자 수 / 기술수준의 변화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