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비용: 무엇을 얻기 위해 포기한 다른 기회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것
경제학적비용: 경제활동 수행시 필요한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합한 것
매몰비용: 회수할 수 없는 비용으로 의사결정에 반영하지 않는 비용.
1.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기회비용은 무엇을 얻기 위해 포기한 (가장 가치가 큰) 다른 어떤 것, 즉 선택하지 않은 방안 중 최선의 대안이다.
예를 들어, 연봉 5,000만원을 받으며 S기업에 다니는 모 대리가 자영업을 시작하려 한다면,
자영업을 하는데 드는 기회비용은 5,000만원이다.
이처럼, 쉽게 말해 무엇을 얻기 위해 포기하는 비용을 기회비용이라 한다.
기회비용을 가장 적게 해야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볼 수 있다. → 기회비용은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기회비용이 발생하는 이유는 자원의 희소성 때문이다.
자원이 무한하면 기회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밀가루로 호빵을 만들 수 있고 호떡을 만들 수 있다고 하자, 호빵을 만들면 호떡이라는 기회비용이 있고, 호떡을 만들면 호빵이라는 기회비용이 있다. 하지만 밀가루를 무한대로 가지고 있으면, 이러한 고민을 할 필요가 없다.
이처럼 자원이 무한히 있으면 기회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기회비용이 발생하는 이유는 자원의 희소성 때문이다.
2. 경제학적 비용(Economic Cost)
경제학적 비용은 명시적비용(회계적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합한 것이다.
경제학적비용 = 명시적비용 + 암묵적비용
그렇다면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은 무엇인가?
명시적(회계적) 비용: 실제 지불할 비용의 합(임금, 대출이자, 임차료, 중간재 구입비 등)
암묵적(잠재적) 비용: 경제행위를 할 때 포기해야 하는 것(기업가의 노동력 및 자산에 대한 기회비용 등)
예시를 들어가며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예시) A양은 대학을 진학할지, 아니면 바로 취업을 할지 고민하고 있다. 바로 취업을 하면 월 200만원을 받으며 일할 수 있고, 대학에 진학하면 등록금 월 100만원과 책값 10만원이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기회비용과 명시적비용, 암묵적비용을 구하라.
명시적비용: 등록금 월 100만원, 책값 10만원
암묵적비용: 월급 월 200만원
경제학적비용: 암묵적비용(월급)+명시적비용(등록금+책값)
이처럼 의사결정에서는 명시적 비용만을 고려해서는 안되고 암묵적 비용까지 고려해야 한다.
경제학적 비용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경제학적 이윤은 회계학적 이윤보다 언제나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경제학적 비용(회계학적 비용 + 암묵적 비용)이 회계학적 비용보다 언제나 크기 때문이다!
3. 매몰비용(Sunk Cost)
매몰비용이란 한번 지출되면 되돌려 받는 것이 불가능한, 즉 회수할 수없는 비용이다. 이미 쓴 비용이기에 의사결정에 반영하면 안된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에서 파스타를 시켰는데, 맛이 없다면 음식을 남기고 나오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 이미 파스타 값은 지불했기에 이를 매몰비용으로 생각하고, 맛이 없다면 음식을 남기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현실에서 대표적인 매몰비용은 광고비와 연구개발비(R&D)이다. 이 비용들은 일단 지출하고 나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기 때문이다.
콩코드 효과(Concorde Effect)
매몰비용과 관련된 비슷한 효과로는 콩코드 효과(Concorde Effect)가 있다.
콩코드효과는 비행기제조업체 콩코드사의 실패 사례에서 유래된 말인데
콩코드여객기는 세계 최초 초음속 여객기로, 영국과 프랑스가 1969년 공동 개발한 비행기이다.
이 여객기는 당시 런던에서 뉴욕으로 가는 비행시간을 7시간 30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단축시켰는데, 3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비싼 가격과, 큰 소음, 연비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투자를 끝내야했는데, 투자했던 비용이 아까워 계속 투자를 이어나갔고, 결국 수십조의 적자가 발생하고, 실패와 적자가 남은 일화이다.
이처럼 콩코드 효과는 손실이 날 것을 예상하고도 지금까지의 투자가 아까워 그만두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실제 사례에서 보았듯이, 우리는 경제활동을 하면서, 어렵지만 매몰비용을 의사결정에 반영하지 않아야 한다.
'본전이 생각나서', '지금까지 투자한 돈이 아까워서' 등의 핑계로 더 투자하다 보면 더 안좋은 상황에 다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현명한 투자자/경제활동자는 매몰비용을 고려해서는 안된다.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의 법칙과 공급의 변화요인 (3) | 2020.10.09 |
---|---|
수요의 법칙이란?(수요와 수요량의 변화+기펜재와 베블렌 효과) (1) | 2020.09.24 |
경제순환모형이란 어떤 것일까?(생산물시장과 생산요소시장) (0) | 202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