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tail

도매업과 소매업의 차이점 (도매업이란? 소매업이란?)

by 마포구 송 대리 2024. 5. 7.
반응형

도매업과 소매업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매업이란,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매입하여 소매업자에게 판매하는 업종을 의미하며
소매업이란, 도매업자에게 매입한 상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업종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이 제품 및 상품을 누구에게 판매하느냐에 따라서 도매업과 소매업이 나뉘게 됩니다.

판매하는 대상자가 사업자라면 도매업, 판매하는 대상자가 소비자라면 소매업이 됩니다.

(도매의 구매자는 이윤 혹은 업무상 이용을 위해 상품을 구입하며,

소비자는 개인적인 필요나 효용을 위해 상품을 구입합니다)

 

아래는 간략하게 도매업과 소매업의 차이점을 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 : 

구분 도매업(Wholesale) 소매업(Retail)
예시 OO대리점 이마트, 롯데마트
판매처 소매업자 최종소비자
취급제품 소품종 대량 다품종 소량
매장 위치 중요하지 않음 중요함
세무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영수증, 신용카드 매출전표 발행
가격 <
광고 중요도 <
자본요구량 >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 KSIC)에서는 대분류 도/소매업(G)을 아래와 같이 3개의 중분류 산업으로 분류합니다(아래 링크를 보시면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제10차 기준 한국표준산업분류 실무 적용 가이드북_2022.pdf (kostat.go.kr)

 

(45)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은 신품 또는 중고 자동차, 모터사이클 및 이들의 부품과 부속품을 판매하는 산업활동으로서자동차 매매 중개활동을 포함”

 

(46) 도매 및 상품 중개업

“도매업은 구입한 새로운 상품 또는 중고품을 변형하지 않고 소매업자, 산업 및 상업 사용자, 단체, 기관 및 전문 사용자 또는 다른 도매업자에게 재판매하는 산업활동”

“상품 중개업은 개인이나 사업자를 위하여 상품 매매를 중개하거나 또는 대리하는 산업활동”

 

(47) 소매업 (자동차 제외)

“개인 및 소비용 상품(신품, 중고품)을 변형하지 않고 일반 대중에게 재판매하는 산업활동으로서 여기에는 백화점, 점포, 노점, 배달 또는 통신 판매, 소비조합, 행상인, 경매 등을 포함”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소매업 분야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소비재로 한정됨”이라고 되어있기 때문에 산업용 자재(광물, 원유, 산업용 기계장비 등)의 판매는 도매업으로 분류되게 됩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소매업이라고 하면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등) 혹은 SSM(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도매업이라고 하면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구매해서 유통 업체에 납품하는 대리점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왼쪽 이미지 : 이마트 / 오른쪽 이미지 : 식품 대리점의 예시

 

도매업자와 소매업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 그림을 보시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도매(Wholesale, 사진에서는 Distributor로 표기)와 소매(Retail)의 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도매업자는 제조업자에게 상품을 대량으로 사와서, 다수의 소매업자에게 이를 판매합니다.

소매업자는 이를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구조입니다.

 

 

도매업과 소매업은 우리나라 유통산업의 근간이 되는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유통산업은 좁게는 도,소매업으로 한정하지만 넓게는 물류, 금융, 서비스 산업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산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매업과 소매업에 대한 특성을 알아두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도매업과 소매업에 대해 다룰 내용이 많지만 다음 포스팅에서 추가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